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프리미어리그
- DATALENGTH
- 리버풀
- date
- Format
- Premier League
- 18-19 PL
- diary
- 조건실행
- WHERE조건
- 18-19
- LiV
- 4000자
- Brighton and Hove Albion
- 데이터크기
- 홍보전화
- YNWA
- 일기
- mssql
- Liverpool
- 같지않음
- function
- 축구
- lfc
- 순위
- 2018AG
- 1819시즌
- daily
- clob
- 물류 #WMS #SI
Archives
- Today
- Total
MinBangHome
WBS 란 본문
작업 분할 구조도(WBS)
일정 계획의 시작
WBS(Work Breakdown Structure)라는 용어를 몰라도 일상에서 WBS 형태의 작업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학기 초에 학생들이 MT를 가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보자. 학회 임원들이 모여 전체 할 일을 세부적으로 나누고 이 일을 누가, 언제까지 수행할지 역할 분담을 분명히 한 후 철저히 준비한다. 일을 세분화하고, 일정을 짜고, 역할 분담을 하는 작업이 바로 WBS이다.
WBS는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과 업무를 세분화하는 작업이다. 프로젝트 구성 요소들을 계층 구조로 분류하여 프로젝트의 전체 범위를 정의하고, 프로젝트 작업을 관리하기 쉽도록 작게 세분화한다. 이때 계층 구조에서 최하위에 있는 항목을 작업 패키지(work package)라고 하는데, 작업 패키지는 해당 업무의 담당자를 할당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나눈다.
[그림 3-11]은 앞에서 예로 든 학사 관리 시스템을 WBS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WBS의 목적과 용도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와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사용함.
• 프로젝트 업무 내역을 가시화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함.
• 프로젝트 팀원의 책임과 역할이 분명함.
• 필요 인력과 일정 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로 활용함.
• 개발비 산정 시 기초로 활용함.
• 성과 측정 및 조정 시 기준선으로 활용할 수 있음.
[네이버 지식백과] 작업 분할 구조도(WBS) - 일정 계획의 시작 (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 공학, 2015. 11. 30., 김치수)
'Develop > 개발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VB] BOF, EOF 사용 (0) | 2024.01.02 |
---|---|
자재 이동 (0) | 2020.03.09 |
ocx 란? (0) | 2019.02.25 |
SI 프로젝트에서 Database 관련 참고할 만한 내용 정리 (0) | 2019.02.25 |
Comments